보리의 역사
일반 보리(Hordeum vulgare L.)는 야생 식물인 Hordeum spontaneum에서 유래했습니다.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 대한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보리는 1만 년 전에 작물화되었으며 구세계 농업의 창시자격 작물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Badr et al., 2000). 보리 재배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보리의 정확한 기원을 알 수 없다고 주장하는 반면(Harlan, 1979), 다른 전문가들은 동부 지중해 지역에서 유래했다고 보고 있습니다(1). 일반적으로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5000년, 북서유럽에서는 기원전 3000년, 메소포타미아에서는 2350년, 중국에서는 기원전 15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히브리인, 그리스인, 로마인에게 보리는 1,500~1,600년(16세기) 동안 빵 생산에 사용된 주요 식물이었습니다(2). 흥미롭게도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보리가 화폐로 사용되었습니다(3).
식물 정보
보리는 옥수수(Zea maize L.), 밀(Triticum aestivum L.), 쌀(Oryza sativa L.)과 함께 세계 곡물 생산량 상위 4위 안에 드는 곡물입니다(Carena, 2009). 보다 정확하게는 2017년에 생산량은 1억 4,900만 톤 또는 3,300억 파운드에 달했습니다(4). 유럽연합(EU-27)이 가장 큰 보리 생산지이며, 러시아와 호주가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미국은 세계에서 7번째로 큰 보리 생산국입니다(5). 미국에서는 2020년에 220만 에이커(0.89만 헥타르)의 보리가 평균 77.2부셸/에이커 또는 5.19톤/헥타르의 수확량으로 수확되었으며, 2020년 총 생산량은 1억 780만 부셸 또는 370만 톤이었습니다(6).
보리는 시리얼이며 콩 과에 속하는 곡물입니다. 일반 보리, 곡물 보리, 시리얼 보리라는 이름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식물은 다양한 환경 조건과 기후 범위(온대, 냉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서 자랄 수 있습니다. 보리는 한해살이이며 서늘한 계절에 적합한 C3 (Vitkauskaite and Venskaityte, 2011) 식물이며 높이는 2 ~ 4 피트 또는 0.6 ~ 1.2m입니다 (Ball et al., 1998). 줄기는 직립하고 매끄러운 잎이 번갈아 가며 마디와 절간에는 털이 없습니다. 보리 씨앗은 ¾ ~ 4 인치 (2-10cm) 길이의 수상화서에서 생산되며, 꽃들은 세 개의 긴 까락으로 이루어진 무리로 배열됩니다. 일부 품종에서는 까락이 없을 수도 있지만, 있는 경우 길이가 6인치 또는 15.2cm에 달할 수 있습니다(Radford et al., 1968).
보리는 특히 개화하기 전에는 다른 작은 곡물과 구별할 수 없습니다. 밀, 호밀, 귀리 등 다른 곡물과 구별하기 위해 잎 칼라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보리의 경우 줄기를 감싸는 두 개의 겹치는 부속물이 있는데, 이를 엽이라고 합니다(Ball et al., 1998).
보리는 수상화서의 이삭 배열에 따라 두 가지 분류가 있습니다. 정확하게는 6조보리의 머리부분을 보면 꽃대(이삭 줄기)의 양쪽에 3줄씩 총 6줄의 알맹이를 관찰 할 수 있습니다. 2조보리의 경우 가운데 소수에만 알맹이가 발달하고 나머지 두 소수는 불임입니다. 위에서 관찰하면 이 유형은 알맹이가 두 개만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Carena et al., 2009).
보리는 겨울이나 봄에 재배할 수 있습니다. 겨울 보리는 일반적으로 저온에 노출되기 위해 가을에 파종하며, 이듬해 봄과 여름에 생육이 완료됩니다. 반면에 봄 보리는 겨울철 기온에 노출될 필요가 없으며 봄에 파종할 수 있습니다. 겨울 보리는 일반적으로 봄 보리보다 일찍 성숙합니다. 일반적으로 세 가지 주요 성장 단계 시스템(자독스, 하운, 피케스)이 있습니다. 보리는 자독스 시스템을 기준으로 다음 단계를 거쳐 자랍니다(1).
- 발아
- 분얼
- 마디 발현
- 지엽 발현
- 수잉
- 출수
- 성숙
영양학적 가치와 용도
보리의 맛은 견과류와 비슷하며 영양가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확하게는 탄수화물이 풍부하고 단백질, 칼슘 및 인 농도가 적당합니다. 보리에는 또한 소량의 비타민 B 복합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통곡물 보리 100g의 영양가(8)
- 334 kcal
- 10.6g 단백질
- 2.1g 총 지방
- 60.8g 탄수화물
- 14.8g 식이섬유
- 50 mg 칼슘
- 6mg 철분
- 91 mg 마그네슘
- 380 mg 인
- 4 mg 칼륨
- 0.5 mg 나트륨
- 3.3 mg 아연
- 0.3 mg 티아민(B1)
- 0.1 mg 리보플라빈(B2)
- 0.6 mg 비타민 B6
- 50 DFE 엽산
보리 다음과 같이 사용 가능 합니다.
- 식용. 식용과 관련하여 보리는 맥주와 위스키와 같은 알코올 음료와 보리수 및 볶은 보리차와 같은 무알코올 음료의 중요한 재료입니다. 이탈리아에서는 보리가 커피 대용품인 caffè d'orzo (보리로 만든 커피)로도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6조보리는 단백질 함량이 높아 동물 사료에 더 적합하고, 당도가 높은 2조보리는 맥아 생산에 더 적합합니다. 보리는 맥아 생산에 사용되기 때문에 문화적, 경제적 이유로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습니다.
- 사료용. 보리는 빠르게 성숙하여 약 58~65일 만에 사료용으로 수확할 수 있는 매우 경쟁력 있는 식물입니다. 생육 기간이 짧기 때문에 일부 환경에서는 보리를 2모작으로 재배할 수도 있습니다. 사료용으로 개발된 보리 품종은 일반적으로 무망(이삭에 까끄라기가 없는 품종)이며 곡물 품종에 비해 성숙 단계(유숙기-호숙기)에 수확할 수 있습니다. 사료용 보리 품종은 2조 또는 6조보리가 있습니다.
- 피복 작물용(9). 보리는 토양 침식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겨울 보리가 토양에 깊은 뿌리 구조를 형성하여 침식을 유발하는 요인 인 바람과 비로부터 토양을 보호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보리가 추운 날씨의 피복 작물로 자주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또한 보리는 질소를 토양으로 방출합니다.
- 관상용. H. vulgare를 새롭게 잡색하여 안정화시킨 H. vulgare variegate가 존재합니다 (10).
영국에서는 미세 조류 억제제(11)로도 사용되며, 불과 몇 년 전에는 측정 단위로도 사용되었습니다(1인치의 법적 정의는 발리콘 3개)(Long, 1842).
보리의 역사, 식물 정보 및 영양 가치
참고자료
- https://extension.umn.edu/growing-small-grains/spring-barley-growth-and-development-guide#growth-timeline-and-process-791511
- https://www.britannica.com/plant/barley-cereal
- https://www.thoughtco.com/fast-facts-about-mesopotamia-119955
- https://www.fao.org/faostat/en/#data/QCL
-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272760/barley-harvest-forecast/
- https://www.nass.usda.gov/Statistics_by_Subject/result.php?1D276BD8-3324-3051-B34F-5ED84AE56A38§or=CROPS&group=FIELD%20CROPS&comm=BARLEY
- https://www.webmd.com/vitamins/ai/ingredientmono-799/barley#:~:text=People%20often%20eat%20the%20grain,to%20support%20these%20other%20uses.
- https://knowledge4policy.ec.europa.eu/health-promotion-knowledge-gateway/whole-grain-nutritional-value-whole-2_en
- https://plants.usda.gov/DocumentLibrary/plantguide/pdf/pg_hovu.pdf
- http://www.loghouseplants.com/images/catgrass2.pdf
- https://web.archive.org/web/20030408210226/http://www.btny.purdue.edu/Pubs/APM/APM-1-W.pdf
- https://www.academia.edu/32662285/Barley_Grain_and_Forage_for_Beef_Cattle_Energy_and_Protein_Content_of_Feed_Barley
- Badr, A., Müller, K., Schäfer-Pregl, R., El Rabey, H., Effgen, S., Ibrahim, H., et al. (2000). On the origin and domestication history of barley (Hordeum vulgare). Mol. Biol. Evol. 17, 499–510. doi: 10.1093/oxfordjournals.molbev.a026330
- Ball, D.M., Hoveland, C.S. and Lacefield, G.D. (1998). Southern forages. 2nd ed. Potash and Phosphate Inst. and Foundation for Agronomic Research, Norcross, GA.
- Carena, M.J. (2009). Handbook of plant breeding: cereals. 1st ed. Springer, New York.
- Harlan, J.R. (1979). On the origin of barley. In: Barley: origin, botany, culture, winter hardiness, genetics utilization, pests. USDA Agriculture Handbook 338. Washington, DC.
- Long, G. (1842). “The Penny Cyclopædia of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Vol. 26, Ungulata – Wales”. The Penny Cyclopædia of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C. Knight. p. 436.
- Radford, A.E., Ahles H. F., and Bell, C. R. (1968). Manual of the vascular flora of the Carolinas.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Chapel Hill.
- Vitkauskaite, G., Venskaityte, L. (2011) Differences between C3 (Hordeum vulgare L.) and C4 (Panicum miliaceum L.) plants with respect to their resistance to water deficit. Žemdirbystė=Agriculture,vol.98,No.4,p.349‒356.